분류 전체보기41 우주항공_쎄트렉아이_20240818 1) 특징 국내에서 위성 부품을 만드는 회사는 몇 있지만 쎄트렉아이는 위성 전체(본체,탑재체)를 온전히 만들 수 있고, 지상시스템까지 제공할 수 있다. 과연 외국에서 위성을 산다면 부문적으로 사지 않는다. 2) 경쟁력 위성이 장비라면 정찰이미지는 소무품인데 두가지 영역을 모두 수직 계열화 함 3) 매출의 인식 기준 진행률에 따라 인식되나 보통 포물선 형태로 인식된다 ( 개발진행 2~3년차때 크게 발생) 미래에는 좋겠네가 아니라 지금부터 좋겠네로 생각하는게 맞아 보임 ( 위성 수주는 발사일까지를 계약기간으로 수주하지만 최소 발사 1년~6개월 전에는 FM 모델을 완성해야하므로 수주 초반 3년정도에 대부분의 매출이 인식된다.) 4) 위성의 국방 로드맵 .. 2024. 8. 18. 우주항공_20240817 1)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과정 -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궤도에 올리는 작업을 위해서는 로켓을 먼저 제작하여야 하겠죠! 이 로켓의 상단에 인공위성을 장착하고 위성은 보호캡슐인 페어링에 쌓여 대기권을 벗어나면서 캡슐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2) 인공위성, 발사체 3) 인공위성에서 발사체가 차지하는 비중 - 제미나이 - 클로바x 4) 발사체의 비중을 줄이기 위한 노력 단순하게 생각하면 인공위성 비용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발사체의 비용이 현저히 낮아지면 없던 수요도 생길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과거에는 국가들이 정지궤도위성에 집중하였다. 발사비용이 너무 비싸니까 정지궤도위성 몇개만 띄워서 자국에 사용하였다. 근데, 정지궤도위성의 가장 큰 단점은 .. 2024. 8. 17. 서부T&D_20240718 투자포인트 ▪ 2024년 1분기 기대치를 상회하는 역대급 실적 ▪ 2분기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실적 경신 전망 ▪ 지난해까지 공급부족 효과, 올해는 외국인 수요 급증 효과 (코로나로 인해 공급량 현저히 감소)▪ 최소한 2027년까지 우호적인 상황 연출 (새로 착공해서 준공까지 5년 감안, 3~5성급 호텔은 공사비 급증으로 추가 공급 쉽지 않다)▪ 실적 증가치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 상황▪ 지난 유트브 보면 서부터미널 인허가만 바라보다가 지금은 무관심(실제 개발에 들어갔음, 1~2년전 youtube)▪ 가치에 비해 저렴 ▪ hdc 현산이 유휴부지(용산, 광운대) 개발이슈로 급등 ( 현산은 이자보상비율에서 서부t&d 에 비해 훨씬 향호함, 현산 6, t&d 1) 근거 내역들 ▪ 2분기 역대 .. 2024. 7. 18. 전력반도체_20240608 전력반도체 시장이 성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 신한금융투자 보고서 참조) 1) 차량 내 전력 변환 장치(EPCU): 기존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차이는 동력 발 생원이다. 전기차는 배터리를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를 구동시키고 속도를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는 직류(DC)전기, 모터는 교류(AC)전기이므로 변 환 해주는 인버터가 필요하다. 모터 구동 외에, 전장 시스템을 위해서도 전력 변 환이 필요하다. 배터리는 고전압인 반면, 전장 시스템은 저전압(12V)을 사용한다. 직류-직류간 전압 변환을 해주는 컨버터가 필요하다. 2) 신재생 에너지: 현재 글로벌 신재생 에너지의 대표 방식은 태양광과 풍력이다. 각 국의 정부 주도하에 관련 투자가 진행 중 또는 진행 예정이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설비에서도 인.. 2024. 6. 8.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