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로봇투자_20250520

by 엑셀히어로 2025. 5. 20.

 

AI 가 몸을 얻는 과정이다

 

 

 

1. 로봇의 손익분기점 .. (역할에 따라 상대적일수 있지만 단순 노동업무의 시급은 16$까지 파악됨)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2. 로봇 도입과 자동차 산업 , 그 이후 .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의외로 건설업의 침투를 높게 보는 보고서 ( 미장, 페인트칠 ...)

엔지니어 tv,

 

 

3. 로봇 시장의 향후 성장 규모

4. 로봇의 핵심 기술

 

      추가로 배터리, 손의 감각신경 기업  

엔지니어 tv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5. 핵심 기업들 -  라이다 (중국산 LiDAR 글로벌 시장으로(NH투자증권)),  센서

 

 

카메라는 핸드폰에 사용된 카메라 업체들이 점유할것으로 보임

현대차 로봇 ‘아틀라스’의 눈, LG이노텍과 함께 만든다 [말하는 기자들_산업_0512]

 

 

5. 핵심 기업들 - 두뇌(추론)

 

  • 엔비디아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로봇의 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AI 기술을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수십만 개의 데이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
  • 반면, 테슬라는 사람을 고용하여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로봇의 행동을 학습시키는 방식을 채택하며, 이 방식은 자본이 많은 회사에서만 가능하다고 언급된다 . 

   

      구글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제공하여 모바일 생태계 장악

 

      엔비디아는 병렬 컴퓨팅 플랫폼이자 프로그래밍 모델인 쿠다를 이용해 생태계 장악

      ( 쿠다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C, C++, Python, Fortran 등 친숙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몇 가지 확장 키워드만 추가해

        GPU의 수천 개 코어를 병렬로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 )

 

      엔비디아는 로봇 부문에서 Comos 플랫폼을 이용해 향후 휴먼노이드 로봇의 추론 생태계 장악을 꿈꾸는중 

      (테슬라처럼  자금력이 충분한 기업은 실데이터로 추론 훈련이 가능하지만 그외 기업은 엔비디아를 이용해 추론 능력 향상)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5. 핵심 기업들 - 액츄에이터 (모터, 감속기, 컨트롤로 가 핵심이며 그중에 감속기가 가장 기술난이도 높음)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5. 핵심기업들 -배터리 

 

5. 핵심기업들 - 손의 감각 (뛰고 달리는 것은 진전을 이루었지만 손의 감각은 한참 남았다,  위로보틱스)

현대차증권 : Give me Hyund-AI or Give me Hyund-DIE

 

 

 

 

 

 

6. 투자방법 - etf 

 

 

6. 투자방법 - 국내 기업

 

 

    - 로봇은 성장이 가파른 사업으로 R&D 필수이므로 자금력(대기업 대주주이면서 시너지 가능해야)이 반드시 필요, 

    - 해외비중이 높으면서 전방시장이 넗은 회사 ( 합격 : 에스피지,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불합격 : 두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유진로봇은 물류 및 서비스, 티로보틱스 물류

                                                                                       유일로보틱스 다관절 로봇? 형태로 휴먼로이드와는 거리가 있음)

    - 성장산업은 매출이 지속 우상향 해야 한다 (두산로보틱스, 에스피지,큐렉소,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뉴로메카,티이엠씨)

    - 실적관리를 잘 해야 한다 (흑자 또는 적자폭이 적거나 일시적) ( 에스피지, 레인보우로보틱스, 큐렉소,로보티즈)

 

 

7. 국내기업 -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 에스피지

 

 

[레인보우로보틱스]

 

필요한 핵심 기술?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액추에이터 actuator

 

삼성전자 자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 차세대 휴머노이드 기술 공개

 

사업구조 및 제품 라인업

  • 협동로봇(RB 시리즈):
    산업 현장 자동화, 팔레타이징, 용접, 머신텐딩 등 다양한 작업에 적용. 1kg~30kg급까지 다양한 하중 대응 제품군 보유. 2025년 1,500대 이상 공급 목표. 자체 감속기·제어기 등 핵심부품 내재화로 가격경쟁력 확보.
  • 이족/사족보행로봇:
    • 이족보행로봇(휴보): 연구·교육·전시용, 국내 최초 인간형 로봇.
    • 사족보행로봇: 군·재난·감시·정찰 등 특수 임무에 최적화. 국방부 시범배치, 험지 이동 및 재난 현장 활용 기대
  • 서비스로봇:
    바리스타·칵테일·서빙로봇, 미디어 서비스 로봇(JAY), 의료용 레이저 토닝 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로 확장
  • 물류로봇:
    소형 자율주행 물류로봇(RBM 시리즈) 등 물류센터 자동화 시장 진출, 글로벌 통합 물류 플랫폼 기업과 협력 확대
  • 천문마운트 시스템:
    한국천문연구원 등 연구기관에 납품, 우주물체 감시용 마운트 등 특수기기 개발

 기술 경쟁력 및 성장 전략

  • 핵심부품 내재화:
    감속기, 제어기, 소프트웨어 등 자체 개발로 원가경쟁력 및 기술 독립성 확보
  • AI·휴머노이드 기술:
    AI 통합 로봇 솔루션, 바퀴 기반 휴머노이드(RB-Y1) 등 첨단 기술 개발. 산업·연구 현장용 상호작용 제어 플랫폼 공개 예정
  • 글로벌 시장 진출:
    북미, 중국, 싱가포르 등 해외 법인 및 판매망 구축. 2024년 북미 법인 매출 본격화, 글로벌 물류로봇 시장 진입
  • 삼성전자와의 시너지:
    삼성전자의 자본·네트워크·AI·반도체 기술과 결합, 미래로봇추진단 신설, 협동로봇·양팔로봇 등 제조·물류 자동화 협력

 

[로보티즈]

 

유니트리 납품에 대한 구체적인 공시는 없으나...

 

로보티즈, 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기업과 맞손 "본격 성장의 원년" : 네이트 뉴스

 

로보티즈, 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기업과 맞손 "본격 성장의 원년"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하나증권은 14일 로보티즈에 대해 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유니트리의 공급으로 액추에이터 부문의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투자의견과

news.nate.com

 

사업 구조 및 핵심 제품

  • 액추에이터(다이나믹셀):
    로보티즈의 핵심 사업으로, 2023년 기준 전체 매출의 98% 이상을 차지. 테슬라, 구글, NASA, 디즈니 등 글로벌 빅테크와 연구기관이 주요 고객사. 약 100여 종의 라인업을 보유하며, 휴머노이드 및 산업용 로봇, 연구·교육용 로봇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
  • 감속기(DYD):
    국산화에 성공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기존 일본 하모닉드라이브가 독점하던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협동로봇·다관절로봇 시장을 겨냥
  • 자율주행로봇(일개미·집개미):
    실내외 자율주행로봇을 호텔, 병원, 관공서, 캠핑장 등 B2B 시장에 공급. 최근 LG전자, 일본 호텔·병원 등으로 납품 확대. 2025년에는 200대 이상 출하 전망
  • AI·피지컬 AI:
    MIT 등과 협력해 인간 수준의 조작 능력을 갖춘 피지컬 AI 연구에 주력. 협동로봇 ‘오픈매니퓰레이터-Y’ 등 신제품에 적용

시장 경쟁력 및 성장성

  • 글로벌 경쟁력:
    56개국 200여 개사 유통망, 수출 비중 70% 내외. 일본, 미국, 유럽, 동남아 등에서 연구·산업용 로봇 부품 공급
  • 기술력:
    액추에이터·감속기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 및 상용화에 성공. AI·자율주행·로봇팔 등 로봇 원천기술을 자체 보유. 테슬라, 구글, MIT, NASA 등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
  • 고객사:
    글로벌 빅테크(테슬라, 구글, LG전자), NASA, 디즈니, 국내외 연구기관, 로봇 스타트업 등
  • 산업 동향:
    AI·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급성장, 대기업(삼성, LG, 현대, SK 등)의 로봇 산업 진출로 협력 및 경쟁 심화. 반도체·스마트팩토리·물류로봇 등 신시장 확대 기대

 

적자가 나는 자율주행사업부의  물적분할 이슈

https://youtube.com/shorts/uOWZdAmI8Uo?si=ict2cm9ZXome4A-a

 

 

[에스피지]

 

- 전방고객사가 다양해서  어보브반도체를 보는듯 함  

 

- 엑츄에이터 

    초정밀·고신뢰성 부문에서는 일본·한국·유럽 제품이 선호되지만, 

    일반 산업용·중저가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이미 상당 부분 대체가 가능한 상황 

 

-엑츄에이터 전문기업으로 로보티즈와 비교

- 각각의 장단점 비교

 

- 유일하게 영업이익을 꾸준히 내는 로봇부품주 

 

로봇 시장서 인정 받는 韓 정밀감속기…에스피지 “내년 2배 성장 도전” - 전자신문

 

로봇 시장서 인정 받는 韓 정밀감속기…에스피지 “내년 2배 성장 도전”

정밀감속기를 국산화한 에스피지(SPG)가 기존 산업용에서 로봇용으로 사업 영토를 확장한다. 경쟁력을 인정 받으면서 고객사가 늘어 정밀감속기 매출을 내년 2배 이상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www.etnews.com

에스피지는 감속기 시장 후발주자지만, 납기와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매년 40억원 이상을 감속기 연구개발(R&D)에 투입해 정밀감속기 납기를 일본 경쟁사의 10분의 1 수준으로 단축하고, 가격은 약 50% 낮췄다.

 

 

3. 연구개발 실적  

 

(1) 국내개발 실적

-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기용 AC G/M 개발

- 칩 컨베이어용 AC G/M 개발

- 벨브 개폐기용 AC M/T 개발

- 제본 천공기용 AC M/T 개발

- 콘베이어용 AC G/M 개발

- 냉동 창고용 AC G/M 개발

- 냉동기용 AC M/T 개발

- 냉동기용 AC O/R 모터 개발

- Over the Range용 AC M/T 개발

- FFU용 AC M/T 개발 

- 환풍기용 AC M/T 개발

- 건조기용 AC M/T 개발

- PAN용 장구형 웜 감속기 개발

- TILT용 장구형 웜 감속기 개발

- 음식물 처리기용 BLDC G/M 개발

- 사족 보행용 유성감속기 개발

- 1WAY, 2WAY, 4WAY 팬 코일용(FCU)  BLDC  M/T  개발.

- 이동식 에어컨용 BLDC M/T 개발.

- 고효율 공기 청정기용 BLDC M/T 개발.

- 엘리베이터 송풍용 BLDC M/T 개발.

- 음식물처리 고출력 교반용 BLDC M/T 개발.

- 냉동기용 냉기순환용  BLDC EC M/T 개발.

- 냉동기 실외기(560W, 900W)  BLDC M/T 개발.

- 바닥 공조용 BLDC  M/T 개발.

- 상업용 냉동기 400W급 EC M/T 개발.

- 렌지후드 BLDC M/T 개발.

- FFU 650W급 제어기 + M/T 개발.

- 음식물 처리기 열순환용 BLDC M/T 개발.

- FFU 500W급 BLDC 제어기 + M/T 개발.

- FFU 650W급 제어기 개발 .

- 에어컨 700W급  실내기용 센시러스형 BLDC M/T 개발.

- Conveyor용 Drum M/T 개발

- AMR 구동용 BLDC M/T 개발

- 휴머노이드 로봇용 액추에이터 개발

- 협동로봇용 SERVO M/T 개발

- 4족 로봇용 BLDC M/T 개발

- KCF-14/17/25 군용 유무인 복합차량 감속기 개발

- KSF-32-120 차세대 GOP중거리 CCTV 개발

- KSG20/25/32-160 감속기 개발(RCWS)

- KCF-40-160 감속기 개발(AMR LIFT)

- KCF14 2종 CP1/CP2 감속기 개발(휴머노이드)

- KSF40-100 신규 감속기 개발(협동로봇)

- KSF-25-50 신규 감속기 개발(FOUP STOCKER)

- KSR-110E 선회감속기 개발

- KSR-160/320E 용접기용 감속기 개발

- KSR-100C, 320CA 감속기 개발(수리교체용)

 

(2) 해외개발 실적

- Soft Serve Machine용 AC G/M 개발

- 수력 장치용 AC M/T 개발

- Drain pump AC G/M 개발

- Spa Cover 용 AC G/M 개발

- Automatic Pool Cover 용 AC G/M 개발

- Oil Feeder용 G/M 개발

- 육절기용 AC G/M 개발

- Oven Convection용 AC M/T 개발

- 냉장고용 AC M/T 개발

- 혈액 원심분리기용 AC M/T 개발

- Carbonator 펌프용 AC 분상기동 M/T 개발

- 보일러용 AC O/R 모터 개발

- OIL PUMP용 DC G/M 개발

- 의료 침대용 BLDC G/M 개발

- 자동문용 DC G/M 개발

- 냉장고용 냉기순환용 Inner TYPE BLDC M/T 개발.

- 냉장고용 슬림형 Outor TYPE BLDC M/T 개발.

- 공기청정기 50W급 BLDC M/T  개발.

- 에어컨 실내기용 900W급  BLDC M/T 개발.

 

 

참고자료 

 

https://youtu.be/mPh3d0pwwmo?si=ANDaXUlaRVMFAeY6

 

로봇이 여전히 어설픈 건 바로 손가락 때문입니다 (위로보틱스 김용재 공동대표/CTO)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한국 휴머노이드 기대치

 

[로봇]에스피지(SPG) 종목분석 |로봇감속기관련주|삼성웨어러블 봇핏에 단독공급|내가 감속기 대장주다! |지금 매수시점인가? #에스피지주가전망 #레인보우로보틱스 #휴머노이드로봇